간호사정: 복부와 생식기, 직장
(Assessment: Abdomen, Genitalia, and Rectum)
1. 수습기간 중, 신규 간호사가 복부사정을 수행 중이다. 실습과 공부가 더 요구되는 행동은 무엇인가?
A. 내장을 촉진하기 전에 시진한다.
B. 대상자를 만지기 전에 모든 압통에 대해 확인한다.
C. 타진(percussion)하기 전에 시진을 마친다.
D. 복부를 청진하기 전에 촉진한다.
2. 간호사는 대상자의 복부가 팽만 된 것을 사정했다. 팽만의 원인이 액체인지 기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간호사는 파동(fluid wave)를 확인하기 위한 타진을 시행해야 한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A. 파동(fluid wave)이 있으면 팽만을 야기한다.
B. 파동(fluid wave)이 있으면 복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 황달과 소양증(pruritus) 체위 의존성 부종(dependent edema), 표피 복부정맥의 비대는 간울혈(liver congestion)로 인한 복수와 자주 동반된다.
D. 파동(fluid wave)의 존재는 주로 사용하는 손을 사용하여서 알아낼 수 있다.
3. 구토와 설사를 한 과거력이 있는 노년의 여자 대상자가 있다. 사정을 통해서 대상자가 무기력하고, 피부의 탄력도 감소되었으며, 지난 3일 동안 2.268 kg(5 pounds)가 감소했으며, 적혈구용적률(hematocrit)이 51%였다. 소변검사를 위한 검체를 받으면서 간호사는 진한 호박색의 소변을 관찰했다. 간호사가 추가적으로 발견해야 하는 사정자료는 무엇인가?
A. 장음의 저하와 소변비중의 상승(1.026)
B. 농축뇨와 항진된 장음
C. 촉촉한 점막과 낮은 소변비중(1.008)
D. 모세혈관 재충혈 시간(capillary refill time)의 상승과 빠르게 반응하는 동공
4. 복부사정 중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복부의 사분면 마다 5분간 청진한다.
B. 대상자를 똑바로 눕히고 양팔은 뒤로 가게 하거나 머리 위에 놓게 한다.
C. 커진 덩어리나 장기를 깊고 확실하게(firmly) 촉진한다.
D. 통증 있는 복부의 사분면을 먼저 사정한다.
5. 의사에게 당장 연락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62세의 남자 대상자의 명치부(epigastric region)에서 혈관음(vascular sounds)이 들린다.
B. 수술은 마친 30세 여자 대상자에게서 들리는 희미하고 저하된(hypoactive) 장음
C. 70세 여자 대상자의 쉽게 만져지는 간(liver)
D. 5세 여아 대상자의 오른쪽 하부 구획에서 만져지는 단단한 덩어리
6. 만약 대상자의 유치도뇨관이 막혔다면 간호사가 발견하게 될 사항은 무엇인가?
A. 치골부위에 부드럽고 동그란 덩어리
B. 초음파 검사로 확인된 수파(a fluid wave)
C. 늑골척추각(costovertebral angle) 부위의 통증
D. 정중선 무딘 명치 통증(midline dull epigastric pain)
7. 간염이 있는 대상자는 보통 간이 확대된다. 이것이 가장 잘 촉진되는 부위는 어디인가?
A. 좌상복부
B. 우상복부
C. 우하복부
D. 좌하복부
8. 노인 대상자에게서 볼 수 있는 위-내장기능(G-I function)의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변비인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
A.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는 것
B. 감소된 연동운동(peristalsis)
C. 증가된 수분 섭취
D. 감소된 복부의 긴장도(abdominal tone)
간호사정: 흉곽과 폐
(Assessment: Thorax and Lungs)
1. 간호사가 대상자의 호읍음을 청진하다가 미세한 수포음을 들었다고 기록하였다. 간호사가 들은 소리는 무엇인가?
A. 들숨 시에 들리는 크고 낮은 음조의 거친 소리
B. 들숨 시에 들리는 건조하고 삐걱거리는 소리
C. 날숨 시에 들리는 높은 음조의 끽끽거리는 소리
D. 들숨이나 날숨 끝에 들리는 미세하고 짧은 비연속적인 수포음
2. 간호사는 대상자의 가슴 뒷면 청진 시 호흡 주기 전반에 걸쳐 크게 우르릉거리는(rumbling) 거친 소리를 들었다. 다음 중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대상자의 자세를 바꾸고 다시 청진한다.
B. 대상자에게 기침을 하도록 한다.
C. 청진기의 종형(bell)으로 바꿔 청진한다.
D. 가슴 앞면에서 다시 확인한다.
3. 4개월 된 영아가 호흡곤란으로 입원하였다. 다음 중 호흡곤란을 나타내는 결과는 무엇인가?
A. 각 호기마다 작게 끙끙거리는 소리(grunt sound)
B. 전후경과 좌우경(AP diameter)의 비율이 1:1임
C. 복식 호흡(abdominal breathing)
D. 분당 30회의 호흡수
4. 대상자는 매일 1갑 반의 흡연을 10년 동안 지속했으며 매일 2갑으로 양을 증가시킨 후 10년간 흡연을 했다. 그 후 대상자는 20년 동안 금연을 했다. 간호사가 대상자의 갑년(pack-years)을 계산한 것 중 옳은 것은 무엇인가?
A. 30갑년(pack-years)
B. 35갑년(pack-years)
C. 15갑년(pack-years)
D. 20갑년(pack-years)
5. 흡연하는 대상자에게 금연 교육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대상자의 말은 무엇인가?
A. “석면(asbestos) 주위에서 일하는 환경이 저의 폐암 위험을 높이고 있어요.”
B. “오늘 제가 금연을 한다면 폐암의 위험이 줄어들 거예요.”
C. “금연을 하기에 너무 늦었어요. 이미 손상됐어요.”
D. “기침이 없어지지 않고 계속된다면 의사에게 전화해야 해요.”
6. 뒷면의 가슴 움직임을 사정할 때 간호사는 대상자의 뒤에 서서 양 엄지손가락을 10번째 늑골의 척추극돌기(spinal processes)에 놓는다. 가슴 확장 시에 양 엄지손가락이 대칭적으로 벌어진다면 이는 어떤 상태를 나타내는가?
A. 폐색전(pulmonary embolus)이 의심됨
B. 정상적인 가슴 움직임 양상
C. 환기 시 통증으로 인해 지지(splinting)하고 있음
D.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7. 성인 남성이 교통사고 시 에어백의 오작동으로 늑골을 다쳤다. 다음 중 초기 사정 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A. 호기 천명음(expiratory wheeze)
B. 곤봉지(clubbing of the digits)
C. 혈액 섞인 객담을 배출하는 목쉰 기침(hoarse cough productive for blood)
D. 국소 부종과 압통
8. 오래된 건물을 개조하는 일을 하는 성인 남성이 폐암이 의심된다고 들었다. 대상자는 흡연을 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단호히 부인하고 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답변은 무엇인가?
A. “석면(asbestos)에 노출되는 것은 폐암 발생의 높은 위험 요소입니다.”
B. “기침을 지속적으로 하셔서 폐암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C. “당신의 가족 중 폐암을 앓았던 분이 계셨을 겁니다.”
D. “지금 이것은 폐암의 위험 요소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9. 대상자의 기도를 청진하는 동안 크고 높은 음조의 텅 빈(hollow quality) 호흡음이 들렸고 들숨보다 날숨에서 더 길게 들렸다. 다음으로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네뷸라이저(nebulizer) 처방을 요청한다.
B. 가슴 사정을 지속한다.
C. 흉관삽입술(thoracostomy)을 위해 바늘을 준비한다.
D. 의사에게 바로 보고한다.
10. 노인 대상자 사정 시 과도한 객담과 습한 기침을 자주 보인다. 다음 중 가장 도움이 되는 약물이나 장치는 무엇인가?
A. 독감 주사(flu vaccine)
B. 비재호흡 마스크(non-rebreather mask)
C. Yankauer 흡인
D. 에피네프린(epinephrine)
위관영양 및 장관영양: 위치확인
(Feeding Tube: Verification of Placement)
1. 간호사가 학생간호사에게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의 위치확인에 대해 교육을 하고 있다. 간호사가 학생간호사에게 위장관 위치를 확인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학생간호사가 내용을 이해했음을 잘 나타내는 대답은 무엇인가?
A. 공기 청진
B. 흡인된 내용물의 색깔 관찰
C. X-ray 확인
D. 흡인된 내용물의 pH 확인
2.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간헐적 장관영양(intermittent tube feeding)을 준비하고 있다.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의 위치를 확인하는 가장 적합한 시간은 언제인가?
A. 영양공급 전
B. 영양공급 후
C. 영양공급 도중
D. 각 영양공급 이전에 반복적인 x-ray 촬영과 동시에
3. 간호사가 비장관(nasointestinal tube)을 통해 내용물 흡인을 준비하고 있다. 간호사는 흡인된 내용물의 양상을 어떤 색깔로 예상해야 하는가?
A. 투명(clear)
B. 황색(yellow)
C. 적색(red)
D. 짙은 갈색(dark brown)
4. 구경이 작은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에서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나, 대상자가 기침하는 동안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가 97%~90%로 감소하였다. 간호사가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침대의 머리를 낮춘다.
B. 지속적 장관영양(continuous enteral feeding)을 중단한다.
C. 대상자의 숨소리를 사정한다.
D. 의사에게 알린다.
5. 간호사가 금식 대상자의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에서 흡인된 내용물의pH를 확인하고 있다. pH 시험지로 측정한 결과 pH가 5 미만이다. 간호사는 내용물이 어디에서 나온 것으로 의심해야 하는가?
A. 소장(Small intestine)
B. 식도(Esophagus)
C. 기관지 분지(Tracheobronchial tree)
D. 위(Stomach)
비위관: 삽입, 세척, 제거
(Nasogastric Tube for Gastric Decompression)
1. 비위관(NG tube)이 폐가 아닌 식도와 위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은 무엇인가?
A. 튜브가 삽입되기 전에 대상자에게 물을 삼키게 한다.
B. 튜브를 삽입할 때 대상자의 목을 과신전(Hyperextend) 한다.
C. 대상자에게 천장을 보도록 한다.
D. 대상자의 턱이 목에 닿게 하는 자세(chin-tuck position)를 취하게 한다.
2. 비위관(NG tube)을 처음 삽입할 때 저항감을 느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저항감이 느껴져도 억지로 넣는다.
B. 튜브를 뒤로 살짝 빼고 각도를 아래로 향한다.
C. 절차를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한다.
D. 튜브에 윤활제를 바르고 같은 콧구멍으로 다시 삽입한다.
3. 간호사가 약물 주입을 위해 대상자에게 비위관을 방금 전 삽입하였다.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방법은 무엇인가?
A. 위(stomach)에 공기를 넣는다.
B. 위 내용물을 흡인한다.
C.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D. 흡인된 내용물의 pH를 측정한다.
4. 위 수술 후 감압술(decompression)을 위해 비위관을 삽입한 대상자를 간호사가 돌볼 때, 간호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A. 비위관(NG tube)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4시간마다 비위관을 재 위치시킨다.
B. 생리식염수로 튜브를 세척하기 위해 공기배출구(air vent)를 사용한다.
C. 대상자의 상태나 의사의 처방에 금기 사항이 아니라면, 침상 머리를 올려준다.
D. 공기 10mL를 Levin tube의 주요 구멍(main lumen)에 넣어 세척한다.
5. 간호사는 비위관(NG tube)이 잘못 위치되었는지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가?
A. 처음 X-ray로 확인한 위치에서 측정한 튜브의 외부 길이와 현재 튜브의 외부 길이를 비교하여 확인한다.
B. 공기를 주입할 때 배에서 소리를 듣는다.
C. 위 분비물을 흡인하여 색의 변화를 확인한다.
D. 위액의 pH를 확인한다. 알카리성 pH는 튜브가 잘못 위치되었음을 나타낸다.
6. 비위관(NG tube)을 한 대상자에게 흡인을 하자 구역과 구토를 시작한다. 그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무엇인가?
A. 흡인이 적절하지 못하다.
B. 위에서 흡인이 적절이 되었다면 대상자는 불편함이 없다.
C. 튜브의 팁이 위(stomach) 안에 있다.
D. 항구역제(antinausea medication)를 미리 주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7. 비위관(NG tube) 기능의 가장 중요한 중재는 무엇인가?
A. 변의 상태(stool status)를 관찰한다.
B. 전해질 수치를 검토한다.
C. 소변 배출량을 관찰한다.
D. 대상자의 증상, 복부 상태, 튜브로 나오는 물질을 사정한다.
8. 비위관을 제거하기 전에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대상자에게 불편감은 삽입 시와 비슷할 것임을 설명한다.
B. 튜브에 적은 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튜브내의 용액을 비운다.
C. 대상자에게 제거하기 바로 직전에 크게 숨을 내쉬라고 설명한다.
D. 대상자에게 제거 후 20분 동안은 코를 풀지 않도록 설명한다.
9. 비위관 삽입 시 불편감을 완화할 수 있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중재는 무엇인가?
A. 튜브 삽입이 불편할 수 있다고 미리 알려 주어 대상자를 놀라지 않게 한다.
B. 튜브 삽입 시 구토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곡반(emesis basin)을 들고 있도록 한다.
C. 대상자가 잡거나 쥐고 있을 수 있는 무언가를 제공한다.
D. 대상자의 머리를 뒤로 하여 편안하게 한다.
위관영양 및 장관영양: 약물 투여
(Feeding Tube: Medication Administration)
1. 충수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가 감압을 위해 비위관(NG tube)을 하고 있다. 대상자의 수술 후 통증에 대한 처방으로 경구용과 정맥주입용 모르핀(morphine)이 처방되었다. 대상자가 복통을 호소할 때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정맥주입용 모르핀(morphine)을 투여한다.
B. 비위관으로 경구용 모르핀(morphine)을 투여한다.
C. 복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위관(NG tube)을 제거한다.
D. 모르핀(morphine)을 구강으로 투여하고 비위관을 30분간 잠궈 놓는다.
2. 대상자가 장용해 알약(enteric-coated medication)을 위루관(gastrostomy tube)으로 투여하는 처방을 받았다.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약물을 잘 갈아서 30mL 이상의 물에 섞는다.
B. 약물 투약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C. 가능한 대체 약물에 대하여 약사와 의사에게 문의한다.
D. 약물을 잘 갈아서 되도록 적은 양의 물에 섞는다.
3. 위루관(PEG)을 통하여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투여할 때,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약물을 약 컵에 함께 섞어 함께 주고, 관을 세척한다.
B. 각각의 약물을 분리하여 주고 약과 약 사이에 15 mL의 정제수로 세척한다.
C. 모든 약물을 주사기에 하나씩 넣고, 30 mL의 물로 세척한다.
D. 약물 사이에 어떠한 세척 없이 각각의 약물을 분리하여 준다.
4. 비위관(NG tube)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는 동안 간호사는 첫 15 mL의 물이 잘 흘러 들어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 중 간호사가 처음으로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NG 튜브에서 주사기를 제거하고 약물에 물을 더 섞는다.
B. NG 튜브를 제거하고 막히지 않은 튜브를 재삽입한다.
C. 약물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 영양 주입 펌프(feeding pump)를 사용한다.
D. 30 mL 또는 60 mL의ENFIT ® 주사기와 따뜻한 물을 사용하여 주사기의 내관을 부드럽게 앞으로 밀고 뒤로 당겨 움직인다.
5. 비위관(NG tube)을 통해 젤 캡슐(gelcap)을 투여하기 위해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A. 따뜻한 물에 젤 캡슐(gelcap)을 녹인다.
B. 젤 캡슐(gelcap)을 무균 바늘로 뚫어 멸균 증류수에 내용물을 용해시킨다.
C. 대체 가능한 약물을 약사에게 문의한다.
D. 젤 캡슐(gelcap)을 잘라 가능한 많은 액체를 모은다.
6. 약물 투여를 하고 영양액 주입을 하는 것 사이에 비위관(NG tube)을 통해 영양액을 Bolus로 주입하지 않고 있을 때,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NG tube를 제거한다.
B. NG tube를 장관영양백에 계속 연결시킨다.
C. NG tube를 열어 두어 공기가 들어오게 한다.
D. NG tube의 근위부 말단에 있는 클램프를 잠그고 마개를 씌운다.
'nur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의 검은 곰팡이 질병 증상 치료방법|black fungus (0) | 2021.05.22 |
---|---|
널싱스킬[Nursing Skills] 정답모음 200개 이상 (0) | 2021.05.09 |
간경변 케이스 스터디/간경화 간호진단/간 문헌고찰 (0) | 2020.11.16 |
해부기능 근육조직 설명글. (0) | 2020.09.27 |